'Programming Language/Java'에 해당되는 글 3건

  1. 2018.08.22 [Java] Nested Class (중첩클래스)
  2. 2018.08.22 [Java] Eclipse 설치
  3. 2018.08.18 [Java] 윈도우10 Java 설치 및 환경변수 설정
2018. 8. 22. 17:00




Nested 클래스


중첩 클래스란 클래스 안에 클래스가 선언된 형태이다. 중첩 클래스에서 외부 클래스는 Outer 클래스라고 하며 Outter 클래스 내부에 존재하는 클래스를 중첩클래스 혹은 내부 클래스라고 한다.



1. Nested 클래스 특징


  • Nested 클래스는 Outer 클래스의 멤버처럼 사용 가능하다. Inner 클래스의 접근지정자 private로 선언해도 접근이 가능하다.
  • Nested 클래스 안에 static 변수를 선언할 수 없다. static Inner 클래스 선언을 가능하다.
  • Nested 클래스 접근시 Outer 클래스를 통해서 접근이 가능하다. static 클래스는 바로 접근이 가능하다.




2. 위치에 따른 4가지 형태


  •  클래스 안에 필드 선언 위치에 선언 되는 경우. 보통 중첩 클래스 or Instance member Class라고 한다.
  •  메서드 안에 클래스가 선언된 경우. 지역 중첩 클래스 or local Class라고 한다.
  •  Inner 클래스가 static으로 선언된 경우. 정적 중첩 클래스 or Static member Class한다.
  •  익명 클래스를 이용해 클래스 선언된 경우 익명 중첩 클래스 or Anonymous Class라고 한다.



1) Instance Member Class (보통 중첩 클래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public class OuterClass {
 
    class InnerClass {    //Inner class
 
        int a;
 
        public void disp() {
            System.out.println("중첩 클래스!");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OuterClass o = new OuterClass();
        OuterClass.InnerClass i = o.new InnerClass();
 
        i.disp();
    }
 
}
 
cs


OuterClass o = new OuterClass(); 로 Outer class를 먼저 생성.

OuterClass.InnerClass i = o.new InnerClass(); Outer 클래스를 통해 Inner 클래스를 생성한다.

Inner 클래스 내에서는 static 변수와 static 메서드의 사용이 불가하다.



2) Local Class (지역 중첩 클래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public class OuterClass {
 
        public void outerMethod() {
            
            class InnerClass {    //Inner class
                
                String str = "중첩 클래스!";
                
                public void disp() {
                    System.out.println(str);
                }
        }
            
        InnerClass i = new InnerClass();
        i.disp();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OuterClass o = new OuterClass();
        o.outerMethod();
        
    }
 
}
 
cs


local inner class는 outer method 안에 inner class가 선언된 경우이다.

Inner class 접근 가능한 변수는 Outer class의 멤버 변수와 상수만이 접근이 가능하다. Outer method의 지역변수는 접근이 불가능하다. Inner class의 객체 생성은 Outer class 내에서 한다.

멤버 클래스와 마찬가지로 Inner 클래스 내에서는 static 변수와 static 메서드의 사용이 불가하다.



3) Static Member Class (정적 중첩 클래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public class OuterClass {
 
    static class InnerClass { // Inner class
        
        String str = "중첩 클래스!";
 
        public void disp() {
            System.out.println(str);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Outer class 생성 없이도 생성 가능
        OuterClass.InnerClass i1 = new OuterClass.InnerClass();
        OuterClass.InnerClass i2 = new InnerClass();
        InnerClass i3 = new OuterClass.InnerClass();
        InnerClass i4 = new InnerClass();    
        i1.disp();
        i2.disp();
        i3.disp();
        i4.disp();
 
    }
 
}
 
cs


static inner class는 inner class 에 static이 붙은 경우이다.

static inner class는 outer class의 생성 없이도 생성이 가능하다.

Inner 클래스 내에서는 static 변수와 static 메서드의 사용이 가능하다.


4) Anonymous Class (익명 중첩 클래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bstract class InnerClass{
    public abstract void disp();
}
 
public class OuterClas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nonymous class
        InnerClass i = new InnerClass() {
            
            String str = "중첩 클래스!";
            
            //method 구현
            @Override
            public void disp() {
                System.out.println(str);
                
            }
        };
        
        i.disp();
        
        
    }
 
}
 
cs


익명 클래스는 객체 생성과 메서드 선언만 있는 형태이다. 객체를 생성하고 바로 클래스나 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 보통 인터페이스나 추상 클래스를 구현하는데 자주 사용된다. 단순한 클래스를 정의할 때나 한번만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일회용) 사용한다.

outer class에서 InnerClass i = new InnerClass() 로 객체를 생성하고 바로 {};를 입력한다.

이 중괄호 사이에 메서드를 구현한다.




'Programming Languag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Eclipse 설치  (0) 2018.08.22
[Java] 윈도우10 Java 설치 및 환경변수 설정  (0) 2018.08.18
Posted by PAYJAY
2018. 8. 22. 10:48



이클립스 개요


 이클립스는 다양한 플랫폼에서 쓸  수 있으며, 자바를 비롯한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는 

프로그래밍 통합 개발 환경을 목적으로 시작 하였으나 OSGi를 도입하여, 범용 응용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진화하였다.

 자바로 작성되어 있으며, 자유 소프트웨어지만 막강한 기능을 자랑한다.



설치


이클립스 설치는 Java JDK의 설치가 되어있다는 전제하에 진행된다. 만약 JDK 설치가 안되어있다면 JDK를 설치 후 이클립스를 설치하는 것을 권장한다.


JDK 설치링크 : 

http://payjay.tistory.com/4 




이클립스 다운로드 링크:

http://www.eclipse.org/downloads/download.php?file=/technology/epp/downloads/release/photon/R/eclipse-jee-photon-R-win32-x86_64.zip



위 링크로 접속하면 위 페이지가 나타난다.

본 포스팅은 64bit 운영체제를 사용하며 차후에 Java를 이용한 

웹 개발을 목표를 하고 있는 분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다.


만약 자신이 그 이외의 환경에서 이클립스를 이용하려면 아래 링크에서

자신의 개발 환경에 맞는 버전을 골라 설치하자

설치 경로는 상관 없다.


링크 : http://www.eclipse.org/downloads/packages/





설치가 완료된 후 파일 압축을 풀면 위 폴더가 열린다.





편의를 위해 바탕화면에 바로가기를 만들어 사용한다.




설치된 이클립스를 실행하면 앞으로 만들어질 파일들을 저장할 폴더를 지정할 수 있다.

파일을 지정 후 지정한 폴더를 디폴트로 사용하고 체크 후 실행시킨다.

*workspace 변경은 이클립스 내에서도 가능하다.



실행 후 위 페이지가 나오는데 오른쪽 아래 체크 해제 후

위의 Workbench를 클릭한다. 



그럼 이제 이클립스 설치가 모두 완료되었다.



Posted by PAYJAY
2018. 8. 18. 12:35

 

 


 

오늘은 Java 설치와 환경변수 설정에 관해서 글을 쓰겠다.

Java를 이용하여 개발을 하기 위해서는 'Java JDK'를 설치해야 한다.

 

STEP 1. Java JDK 다운로드

 

설치 경로 :

https://www.oracle.com/technetwork/java/javase/downloads/index.html


 



위 링크로 들어가면 위 페이지가 열린다.

 

그 다음 설치하고 싶은 Java 버전을 선택해서 다운을 받는데 여기서 주의할 점이 한 가지 존재한다그건 바로 최신버전이 다 좋은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유는 최신 버전에 새롭게 추가된 기능이 모두 잘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그렇기에 필자는 이전 버전인 JDK8을 다운 받을 것이다.




 

 페이지에서 조금 내리면 JDK8의 다운로드가 보인다.



클릭하면 위 페이지가 나타나는데 'Accept License Agreement'에 체크 후 자신에게 맞는 버전의 JDK를 다운받으면 된다. 필자는 윈도우 64bit를 다운받았다.

 

 

다운로드가 완료되고 파일을 실행시키면 위 같이 실행이 된다.

이 후는 NEXT만 계속 해주면 된다.

 

 

 

위 창이 나타났다면 Java의 다운로드가 모두 완료되었다.

 

 

 

STEP 2. 환경변수 설정

 

다음은 환경변수 설정이다.

 

 


먼저 파일 탐색기를 열고 내 컴퓨터 -> 속성으로 들어간다.

 

 

 


그 다음 고급 시스템 설정 -> 환경변수로 들어간다.

 

 

 


 

그럼 위 의 창이 나타난다. 이제 '시스템 변수'에서 새로 만들기를 누르고

 

  

 


 

위 의 창이 뜨면 변수 이름에 'JAVA_HOME'

변수 값에 방금 설치한 Java JDK 설치 경로를 붙여넣고 확인을 누르자.

 

 

 

그 다음은 같은 시스템 변수에서 'Path'를 선택 후 편집을 누른다.

 

 


 

 

이제 새로 만들기를 눌러서 '%JAVA_HOME%\bin'을 입력한 뒤 맨 위에 위치시킨다.

 

이렇게 하면 Java와 환경변수 설정이 모두 끝이 났다.

 

 

 

STEP 3. 설치 확인

 

마지막으로 java가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을 해야한다.

 


 

cmd창을 열고 명령창에 'javac'라고 입력하자

 

 

위 처럼 창이 뜬다면 설치가 잘 끝난 것이다.

 

 

 

여기까지 완료되었다면 모든 Java 설치가 완료된 것이다.

다음에는 코드를 작성하고, 저장하고 컴파일 및 디버깅을 도와주는 

통합 개발 환경(Integrated Development EnviornmentIDE)의 설치 방법에 대해 포스팅 할 것이다.

 

 

 

 

 

 

 

 

 

 

 

 

 


'Programming Languag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Nested Class (중첩클래스)  (0) 2018.08.22
[Java] Eclipse 설치  (0) 2018.08.22
Posted by PAYJ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