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의 DB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운영하기 위해 구성된 소프트웨어 시스템.
오라클 sql 서버등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제품이 DBMS이다
오라클 DB와 MySQL
오라클은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사용 DBMS
MySQL 은 무료로 중소규모 웹사이트 개발에 많이 사용됨
DB의 장단점
파일시스템
데이터를 저장한 파일을 데이터파일 이라고 함
파일시스템은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본임
경우에 따라서는 파일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 관리도 필요함.
단점
1. 데이터 중복
2. 데이터의 불일치
3. 데이터 공유 어려움
4. 데이터 용량 증가에 따른 검색 효율 저하
…
장점
1. DB 도입 장점
2. 중복성 최소화
3. 불일치성 해경
4. 데이터 공유 편이성
5. 정보 표준화 유리 데이터 보안성 제공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에 관계 개념을 부여
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구성요소
테이블은 데이터베이스 관리의 기본 단위이다.
정리되지 않은 데이터를 표 형태로 정리할 수 있음
정리되지 않은 개인 정보와 정리된 개인 정보
가로 : row
세로 : column
테이블
column
데이터를 구별하기 위한 속성 field라고도 함
row
row는 하나의 데이터만 표시할 수 있다.
그룹이나 배열의 형태는 허용하지 않는다
각각의 컬럼에는 특정한 형태의 값만 가질 수 있다.
모두 로우의 데이터는 해당 컬럼에서 요구하는 형태의 값만 포함
Key
서로 다른 로우를 구분하기 위한 특징을 가진 필드
Primary key
테이블 내 데이터를 구분해 주는 유일한 값을 대표하는 키
학번 주민등록번호 접수번호 등 중복되지 않는 유일한 값
Foreign key
테이블 간의 관계를 표현
데이터 일관성 유지
대표적으로 코드 테이블을 참조하기 위해 사용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의 약자로 표준화된 DB 질의어 DML과 DDL로 구분
DML은 Data Manipulation Language의 약자로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또는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웨어가 컴퓨터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데이터 검색, 등록, 삭제, 갱신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언어 또는 데이터베이스 언어 요소이다.
Ex)
SELECT : 검색
INSERT : 삽입
UPDATE : 업데이트(수정)
DELETE : 삭제
DDL은 Data Definition Language의 약자로 컴퓨터 사용자 또는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웨어가 컴퓨터의 데이터를 정의하는 컴퓨터 언어 또는 컴퓨터 언어 요소이다. DDL의 문장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정의한다. SQL에 의해 정의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는 쌍(행), 속성(열), 관계(테이블), 인덱스 파일 등 데이터베이스 고유의 특성을 포함한다.
Ex)
CREATE :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관계(TABLE), VIEW, 인덱스, 저장 프로시저 만들기
DROP : 이미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계(TABLE), VIEW, 인덱스, 저장 프로시저 제거
ALTER : 이미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 개체에 대한 변경, RENAME의 역할
TRUNCATE : 관계(TABLE)에서 데이터를 돌이킬 수 없는 제거.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오라클에서 엑셀파일 IMPORT 하기 (0) | 2018.11.12 |
---|---|
[Database] ORACLE 사용자 권한 부여 (0) | 2018.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