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8. 20. 01:30

눈이 무섭다





리눅스 공부를 위해서 먼저 학습 환경을 조성해야한다.

한 컴퓨터에 윈도우와 리눅스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니

VMware를 이용하여 리눅스를 설치할 것이다.


step 1. VMware 설치


다운로드 링크:

https://www.vmware.com/products/workstation-pro/workstation-pro-evaluation.html




위 링크로 들어가면 위와 같은 페이지가 나온다.

필자는 윈도우를 사용하기에 윈도우용을 다운받는다.



설치된 파일을 실행시키면 위와 같이 실행이 된다.



다음을 누른 후 약관에 동의



설치 경로를 확인 후 체크 된 상태 그대로 다음을 누른다.



마찬가지로 체크는 그대로 두고 다음을 누른다.



바로가기 생성 여부에 체크 후 다음을 누른다.



Install을 누르면 설치가 시작된다.



설치가 완료된 후 Finish를 누르자.



그럼 재부팅 여부를 묻는다.

YES를 눌러 재부팅 한다.



재부팅 후 바탕화면의 아이콘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라이센스 키를 입력하라고 나오면 입력을 한다.



그럼 위 와 같은 창이 나타나면서 설치가 완료되었다.



위 와 같은 상태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되었다.

remind me later를 눌러 넘어간다.


step 2. CentOS 설치


다음은 CentOS 설치이다 

이 과정은 복잡하고 길어보이지만 조금만 집중하면 아주 쉬운 과정이다.



다운로드 링크:

https://www.centos.org/download/



위 링크로 접속하면 위와 같은 사이트가 나온다.

'Get CentOS NOW'를 클릭.



넘어가면 'DVD ISO'를 클릭



그 다음 위 페이지가 나타나는데 

'Actual Country' 아래 링크 중 하나를 클릭하면 다운을 시작한다.



다운이 완료되었으면 방금 설치한 VMware를 실행 후

'Create a New Virtual Machine'을 클릭한다.




위 와 같은 창이 나타나면 'Typical (recommended)'에 체크를 둔 후

다음으로 넘어간다.



그 다음 방금 다운로드 받은 iso파일을 선택 후 다음으로 넘어간다.




Virtual Machine 이름을 정하고 넘어간다.



그 다음 OS의 메모리 사이즈를 정해야하는데

기본 사이즈는 20G지만 필자는 혹시나 모르니 60G로 지정했다.



다음으로 넘어와서 Finish를 누른다.



그 다음 위와 같이 창이 나타나는데

키보드를 이용해 'Install CentOS 7'을 선택 후 엔터를 누른다.



그럼 자동으로 설치가 시작된다.




위 과정이 완료가 되면 리눅스를 실행하기 전 설정을 해야한다.

언어는 한국어를 선택 후 계속 진행을 클릭한다.



그 다음 여러 개가 나오는데 먼저 우리가 해줘야 할 것은 

'소프트웨어 선택'과 '설치 대상'이다.



먼저 '소프트웨어 선택'을 누르면 위 처럼 여러 선택지가 나온다.




기본으로 설정된 최소설치로 설치를 하면 TUI 모드로 먼저 리눅스가 설치되기에

공부하기 편하게 GUI 모드로 설치를 하자.

오르쪽의 환경 기능에서 필요한 것을 체크 후 위의 완료 버튼을 누르자.



그 다음 '설치 대상'을 클릭 후 위 와 같은 창에서 

로컬 표준 디스크에서 디스크를 클릭 후 완료를 누른다.



그 다음 첫 화면에서 설치 시작이 활성화 된 것을 확인하고 버튼을 누르자.

그럼 root암호와 사용자가 생성되지 않았다고 나타날 것이다.

그럼 각각 설정을 하자.



먼저 root 암호는 최고관리자 비밀번호로 굉장히 중요하다.

타인에 알려지지 않게 조심하자.



그 다음 사용자 생성에서 사용자의 이름과 암호를 입력한다.

이름은 영어로 입력하고 성명과 사용자 이름이 꼭 같을 필요는 없다.

완료 후 밖으로 나가면 설치를 시작한다.



설치가 완료되면 재부팅 버튼이 활성화되고 재부팅을 해주자.



그럼 라이센스 동의와 방금 설정 중에 설정해주지 못한 네트워크 설정을

하라는 창이 나타난다.



'License Information'을 클릭해 약관에 동의.



그리고 네트워크 설정에서 이더넷을 선택 후 왼쪽 아래 설정 버튼을 누르면

위의 설정창이 나타난다.




네트워크 설정에서 위 와 같이 입력 후 저장을 누른다.



그리고 오른쪽 위의 버튼을 '끔'에서 '켬'으로 바꿔주자.



그러면 위와 같이 사용자 로그인 창이 나타난다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접속하자.




접속 후 잠시 기다리면 설정창이 나온다.

사용자에 알맞게 설정해주자.



설정이 끝나면 시작하기를 클릭




그럼 위 리눅스 창이 나타나면서 리눅스 설치가 완료되었다!

리눅스 사용 준비를 마쳤다. 이제 리눅스를 이용해서 무엇을 해야하는가를 생각해보자!




Posted by PAYJAY
2018. 8. 18. 12:35

 

 


 

오늘은 Java 설치와 환경변수 설정에 관해서 글을 쓰겠다.

Java를 이용하여 개발을 하기 위해서는 'Java JDK'를 설치해야 한다.

 

STEP 1. Java JDK 다운로드

 

설치 경로 :

https://www.oracle.com/technetwork/java/javase/downloads/index.html


 



위 링크로 들어가면 위 페이지가 열린다.

 

그 다음 설치하고 싶은 Java 버전을 선택해서 다운을 받는데 여기서 주의할 점이 한 가지 존재한다그건 바로 최신버전이 다 좋은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유는 최신 버전에 새롭게 추가된 기능이 모두 잘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그렇기에 필자는 이전 버전인 JDK8을 다운 받을 것이다.




 

 페이지에서 조금 내리면 JDK8의 다운로드가 보인다.



클릭하면 위 페이지가 나타나는데 'Accept License Agreement'에 체크 후 자신에게 맞는 버전의 JDK를 다운받으면 된다. 필자는 윈도우 64bit를 다운받았다.

 

 

다운로드가 완료되고 파일을 실행시키면 위 같이 실행이 된다.

이 후는 NEXT만 계속 해주면 된다.

 

 

 

위 창이 나타났다면 Java의 다운로드가 모두 완료되었다.

 

 

 

STEP 2. 환경변수 설정

 

다음은 환경변수 설정이다.

 

 


먼저 파일 탐색기를 열고 내 컴퓨터 -> 속성으로 들어간다.

 

 

 


그 다음 고급 시스템 설정 -> 환경변수로 들어간다.

 

 

 


 

그럼 위 의 창이 나타난다. 이제 '시스템 변수'에서 새로 만들기를 누르고

 

  

 


 

위 의 창이 뜨면 변수 이름에 'JAVA_HOME'

변수 값에 방금 설치한 Java JDK 설치 경로를 붙여넣고 확인을 누르자.

 

 

 

그 다음은 같은 시스템 변수에서 'Path'를 선택 후 편집을 누른다.

 

 


 

 

이제 새로 만들기를 눌러서 '%JAVA_HOME%\bin'을 입력한 뒤 맨 위에 위치시킨다.

 

이렇게 하면 Java와 환경변수 설정이 모두 끝이 났다.

 

 

 

STEP 3. 설치 확인

 

마지막으로 java가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을 해야한다.

 


 

cmd창을 열고 명령창에 'javac'라고 입력하자

 

 

위 처럼 창이 뜬다면 설치가 잘 끝난 것이다.

 

 

 

여기까지 완료되었다면 모든 Java 설치가 완료된 것이다.

다음에는 코드를 작성하고, 저장하고 컴파일 및 디버깅을 도와주는 

통합 개발 환경(Integrated Development EnviornmentIDE)의 설치 방법에 대해 포스팅 할 것이다.

 

 

 

 

 

 

 

 

 

 

 

 

 


'Programming Languag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Nested Class (중첩클래스)  (0) 2018.08.22
[Java] Eclipse 설치  (0) 2018.08.22
Posted by PAYJAY
2018. 7. 30. 16:07


2018.07.30

블로그 개설 및 포스팅 시작.

Posted by PAYJAY